기납부세액이란? 헷갈리지 마세요!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
“기납부세액”, 세금 정산할 때 자주 보지만 무슨 뜻인지 헷갈리시죠?
종합소득세, 연말정산, 법인세 계산할 때 꼭 나오는 개념이지만
이게 환급 대상인지, 추가 납부 대상인지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기납부세액의 개념부터 계산, 환급 여부, 확인 방법까지
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.
---
1. 기납부세액이란?
기(旣): 이미
납부: 냈다
세액: 세금 금액
즉, ‘기납부세액’ = 이미 납부한 세금 금액입니다.
예를 들어, 프리랜서가 1년 동안 받은 원천징수 금액이 300만 원이라면,
그 300만 원이 기납부세액입니다.
---
2. 기납부세액은 어떤 세금이 포함될까?
기납부세액에는 다음 항목들이 포함됩니다.
근로소득세, 사업소득세 등 원천징수된 세금
중간예납세액 (종합소득세 중간에 미리 낸 금액)
예수금 납부세액 (직접 신고 후 납부한 세금)
법인세 등 선납한 세금
즉, 정산 전에 미리 냈던 세금 전부가 포함됩니다.
---
3. 기납부세액은 환급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?
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죠.
> “기납부세액이 많으면 환급받나요?”
정답은 기납부세액과 결정세액(최종 계산된 세금)을 비교해서 결정됩니다.
즉, 기납부세액 > 결정세액 → 환급,
기납부세액 < 결정세액 → 추가 납부입니다.
---
4. 기납부세액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**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(모바일)**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[홈택스 > My홈택스 > 지급명세서/납세이력]
에서 원천징수 내역이나 납부 내역을 조회할 수 있고,
종합소득세 신고 시에도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
---
5. 기납부세액 관련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프리랜서인데 기납부세액이 없다고 나와요. 왜죠?
→ 클라이언트가 원천징수를 하지 않았거나, 본인이 직접 세금을 내지 않았다면 기납부세액이 0원일 수 있습니다.
Q2. 연말정산에서 기납부세액은 뭔가요?
→ 연말정산에서 회사가 대신 낸 소득세가 기납부세액에 해당합니다.
Q3. 기납부세액을 직접 입력해야 하나요?
→ 대부분 자동 반영되지만, 간혹 누락된 경우 직접 입력 가능하며,
원천징수영수증으로 확인 가능합니다.
Q4. 법인세에서도 기납부세액이 적용되나요?
→ 네. 중간예납, 예정신고 등으로 이미 납부한 세금은 기납부세액으로 인정됩니다.
--
6. 마무리 요약
기납부세액은 ‘이미 낸 세금’
종합소득세, 연말정산, 법인세 등 세금 정산 시 기준이 됨
기납부세액 > 최종세액 → 환급
기납부세액 < 최종세액 → 추가 납부
홈택스에서 조회 가능